심청 ⟨Shimchong⟩: Daughter Overboard!

Transcultural Music Theatre
Motherboard Productions

Following sold-out seasons of 지하 Underground in Brisbane and Seoul, Motherboard Productions returns to WTF in 2016 with a bold new work of transcultural storytelling.

만약 인당수가 아닌 인도양에 ‘심청이’가 뛰어든다면? 그리고 그녀를 다시 바다로 뛰어들게 한 것은 무엇인가?

DIRECTOR’S NOTES

Myths of sacrifice are revered the world over, with the motivations for their telling as numerous and varied as the cultures that keep them alive.

Reading Oh Tae Suk’s Why Did Shimchong Plunge Into The Sea Twice? for the first time in 2012, I was struck by the parallels between his central premise – that a boat load of indentured workers would hold their lives ransom on the high seas – and the myths the Australian public were told in 2001 of desperate people threatening to throw their children overboard in order to ensure their asylum. There were dots to join, and the hopeful hesitation I had was at the thought that by the time I was able to put a team together, secure support, and develop a show, that this dark moment of Australia’s history would be over, that the work would end up an irrelevant museum piece.

2012년경, ‘오태석’의 왜 두 번 심청이는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를 처음 읽었을 때, 그의 작품 속에 나오는 수많은 노예 계약 노동자들이 바다를 부표하는 배 위에 자신의 몸값을 저당잡힌 상황과 2001년경, 한 난민선이 영해에서 추방당하지 않으려 바다 밖으로 자신의 아이들을 내던지는 위협이 있었다는 호주 여론을 들끓게 한 가공의 이야기와의 유사점이 강렬히 뇌리를 스쳐지났다. 무언가를 연결 지을 점이 있다고 생각했지만 내심 이 작품을 구상할 때, 공연을 만들 기나긴 준비가 완료될 시기 즈음에는 호주가 난민에게 자행해 온 어두운 역사가 종지부를 찍고 이 작품도 역사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다는 망설임과 역설적인 희망이 동시에 존재했다.

In 2014, with little change in sight, we got to work, armed with government reports, hundreds of pages of an epic written in archaic Korean, a translation of the 1990 version of Oh Tae Suk’s text and a stack of newspapers.

It’s now 2016, and as I write this, Queensland’s deputy premier is speaking to hundreds of people standing in solidarity with doctors and administrators at the Lady Cilento Children’s Hospital who refuse to discharge a child back into the care of the Australian federal government.

We are digging a mass watery grave.

희생과 관련된 신화는 세계 어느 곳에서나 신성하게 추앙된다. 그리고 희생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지는 동기와 이유는 각 나라의 문화에 따라 다르고 또 다양하다.

2012년경, ‘오태석’의 왜 두 번 심청이는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를 처음 읽었을 때, 그의 작품 속에 나오는 수많은 노예 계약 노동자들이 속박당한 상황에서 풀려나기 위해 부표하는 배에 자신의 생명을 내맡긴 상황과 2001년경, 호주로 들어오는 난민을 반대하는 여론을 만들고자 ‘자신의 망명을 보장받기 위해 아이들을 강제로 배 밖에 던진 인면수심의 난민들’이라는 가공의 이야기를 만들어낸 정치공작 사건과의 유사점이 강렬하게 뇌리를 스쳐 지나갔다. 내심 이 작품을 구상할 때, 공연을 만들 기나긴 준비가 완료될 시기 즈음에는 호주가 난민에게 자행해 온 어두운 역사가 종지부를 찍고 이 작품도 더는 공연될 필요가 없을 것이라는 망설임과 역설적인 희망이 동시에 존재했다.

하지만 그런 두려움을 뒤로 하고 2014년, 정부 보고서와 수백 장에 달하는 심청가, 오태석의 1990년 작품 번역본, 켜켜이 쌓인 신문 더미를 가지고 작업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6년 현재,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순간에도 수백 명의 사람이 레이디 실렌토 아동병원에서 최근 치료를 받은 난민 아기가 퇴원 후 다시 호주 외 수용소에 송환되는 일을 반대하며 호주의 현 난민 정책에 반기를 들고 있다.

Director Jeremy Neideck
Co-Writers Jeremy Neideck and Kathleen McLeod after Oh Tae Suk*
Executive Producer Dave Sleswick
Associate Producer Matt Seery
Assistant Director Hoyoung Tak
Dramaturg Daniel Evans
Lighting Designer David Walters
Production Designer Josh McIntosh
Associate Designer Hahnie Goldfinch
Original Music by Tom Dickins
Sound Designers Dane Alexander and Jeremy Neideck
Stage Manager Pip Loth
Assistant Stage Manager Emma Healy

Featuring Performers Hoyoung Tak, Younghee Park, Dahye Chu, Giema Contini, Anthony Mayor, Ben Warren, Alinta McGrady

Initial Collaborators Polly Sara, Minah Oh, Katie Farr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Manager (Korean Audience Development) Yejin Park
Director’s Assistant M’ck McKeague
Production Photography FenLan Chuang
Promotional Photography Viktor Rijk

*왜 두 번 심청이는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Why Did Shimchong Plunge Into The Sea Twice?⟩ (1990)

The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of 심청 ⟨Shimchong⟩: Daughter Overboard! has been supported through funding by the 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 Arts Queensland, Korea Foundation and Brisbane Powerhouse.

This project was also supported by HotHouse Theatre’s Month in The Country residency program, Queensland Academy of Creative Industries and Queensland Theatre Company.

Header Image: FenLan Chuang (2016)

Advertisement